페터 춤토르 건축을 생각하다
페터 춤토르: 시공을 초월한 존재감
페터 춤토르(Peter Zumthor)는 1943년 스위스 바젤에서 가구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1979년 할덴슈타인에 건축 사무소를 연 춤토르는 스위스 그라우뷘덴의 발스 온천을 비롯해 콜룸바 뮤지엄 등의 작품으로 시공을 초월하는 수준 높은 건축 사상을 표현했고, 2009년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일컬어지는 프리츠커상 수상이라는 영예까지 안았다. 당시 프리츠커상 심사위원장인 피터 팔룸보 경은 “화려한 외관과 장소의 포용이 어우러진 춤토르의 작품은 건축가가 ‘겸손함’과 ‘배짱’이라는 미덕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심사평으로 춤토르의 건축 작품을 극찬한 바 있다.
건축계를 대표하는 이름난 대가들은 많다. 그러나 은둔자에 가까운 페터 춤토르의 건축 사상과 미학이 오늘날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는 까닭은 무엇일까? 현대건축에 있어 많은 건축학도들이 춤토르를 롤모델로 삼고 그의 건축 작업을 찬미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춤토르의 전작 《페터 춤토르 분위기》와 더불어 이들의 필수 교재로 쓰이고 있는 《페터 춤토르 건축을 생각하다》에 이 모든 답이 담겨 있다.
페터 춤토르: 건축을 생각하다
스위스가 낳은 위대한 건축가 페터 춤토르는 현대건축을 이끌어가는 건축가들 사이에서 그야말로 전설적인 인물이다. 국제적인 대형 건축물을 설계한 것도 아니고 동서양을 넘나들며 작업을 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춤토르의 ‘작은 건물’들은 오늘날 건축가들이 나아갈 방향을 지시하는 이정표 역할을 하고 있다. 사람이나 경관을 주눅 들게 하지 않는, 실로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일체’의 건축물이다.
춤토르의 대표적인 강연을 모아 엮은 《페터 춤토르 건축을 생각하다》는 그의 건축 철학과 경험, 사유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책이다. 춤토르는 이 책에서 “건축은 그 본질과 무관한 대상을 위한 수단이나 상징이 아니다. 비본질적인 것을 중시하는 사회 속에서 건축은 형태와 의미의 낭비에 대항하고 저항하면서 건축의 언어를 말해야 한다.”라고 말하며 건축에 대한 자신의 철학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한마디로 건축에는 한 개인이 살면서 겪는 전기적 경험이 반영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거만하고 화려한 장식이 필요 없다. 건축은 스스로 생명력을 가지고 장소와 일체가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춤토르가 내놓은 건축적 대답은 명확하고 단호하다. 이에 대해 하얏트 재단의 이사장 토머스 J. 프리츠커도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페터 춤토르는 전 세계 건축가들 사이에서 존경을 받는 대건축가이다. 그의 건축 작품들은 타협이 없고 단호하다. 매우 강인하며 시대를 초월한 존재감을 지니고 있다. 춤토르는 자신의 엄격하고 명확한 사고를 시적 영감과 결합하는 재능을 가지고 있다. 그로 인해 그의 건축물들은 끊임없이 영감을 뿜어내고 있다.”
절제, 단호함, 그리고 고요
춤토르의 이러한 건축 철학은 그의 대표작인 발스 온천에서 접할 수 있다. 절제가 있고, 단호하고, 그리고 고요하다. 발스 온천은 산들이 둘러싸고 있는 대지의 풍경에 건축물이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경사진 땅에 건물의 반을 감춘 형태이다. 노출된 것이라고는 잔디로 뒤덮인 지붕과 발스 지방에서 채취한 편마암을 이용해 만든 메인 파사드뿐이다. 경사를 최대한 이용해 건물의 형태를 잡은 발스 온천은 건축가가 상상한 건물이 지어졌다기보다는 마치 산을 깎아 그 안에 감추어져 있는 온천을 드러낸 것처럼 보인다.
“온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이곳에서 온천을 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부터 생각했습니다. 온천수는 이산에서 우리가 존재하지 않았던 오래전부터 샘솟아 왔을 것입니다. 그래서 산에서 샘솟은 그 온천을 머릿속으로 그려 봤습니다. 온천과 산이 수만 세기 동안 이곳에 존재했던 것처럼 발스 온천도 지었다기보다는 원래부터 이곳에 있었다고 할 수 있지요.”
《페터 춤토르 건축을 생각하다》에서 춤토르는 ‘이미지’는 건축 형태로 접근하는 강력한 수단임을 전하고 있다. 춤토르가 말하는 이미지는 각자의 기억 속에 저장된 이미지이다. 다시 말해서 건축 형태에 대한 자신의 기억 속의 경험과 상상력을 표현한다는 것이다. 춤토르는 강연에서 학생들에게도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디자인 설계를 하도록 권한다. 좋은 설계를 할 수 있는 힘은 우리 내부에 이미 존재하고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또한 사물을 경험하는 것은 개개인의 경험 안에서 머물지 않고 하나의 보편적인 경험으로 정의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건축 철학이다.
이 책에서 춤토르는 있는 그대로의 본연에 충실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만으로도 깊은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공간을 만들어낼 수 있음을 강조한다. 그가 건축에 이용하는 재료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 고유의 성질을 살리는 데 고집스러울 정도로 몰입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그로 인해 춤토르의 작품들은 준엄하고 격조 있는 느낌을 안겨준다. 거장의 장인정신이 빚어낸 위대한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건축학도뿐만 아니라 인문적인 삶에 관심이 있는 분들, 우리가 살고 있는 집, 머물고 싶은 공간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현대건축을 대표하는 이 노장의 책을 꼭 읽어 보길 권한다. 우리를 둘러싼 공기, 소리, 빛, 물질 등과의 교감을 통해 건축의 존재감을 표현하는 춤토르의 숭고한 사상과 철학을 웅숭깊게 엿볼 수 있을 것이다.